728x90

나는 개발을 할 때 MacOS를 사용해왔었고, iterm2을 설치하고 oh my zsh로 커스텀하여 편리한 기능을 많이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회사의 보안 정책으로 본인의 전자장비를 반입할 수 없었고 설상가상으로 회사 컴퓨터는 맥북이 아닌 윈도우11을 사용중이었다.

 

그렇다고 명령프롬프트나 git bash 등을 사용하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편리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었고

능률이 떨어질것이라고 판단하여 윈도우에서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여 적용시켜보자 마음먹게 되었다.

 

검색 결과, WSL을 사용하면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일종의 가상환경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이를 적용시키면 윈도우에서도 충분히 기존 작업환경과 유사한 개발환경을 세팅할 수 있겠다고 판단하였다.

 

 

✅ WSL 설치

1. WSL 활성화

이 방법은 Window11 이상 or Windows 10 특정 버전 이상에서 권장된다.

PowerShell 이나 cmd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wsl --install

 

✅ 우분투 설치 

우분투 설치가 자동으로 되는 경우도 있지만, 나의 경우는 직접 설치를 해줘야 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 설치를 진행한다.

 

wsl.exe --install --no-distribution

 

이후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컴퓨터를 종료후 다시 실행한다. (이 과정에서 윈도우 11로 업데이트도 동시에 진행해주었다.)

재부팅 이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를 최초 실행하게 되면 우분투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된다.

본인이 원하는대로 설정하면 초기 설정이 완료되고, 우분투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터미널 디자인을 커스텀할 차례이다.

커스텀은 oh my zsh를 통해 진행할 것이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여 자신이 원하는대로 커스텀을 진행한다.

 

 

✅ 1단계: zsh 설치 및 기본 셸로 설정

 
 
apt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sudo 설정이 되어있으므로 앞서 설정한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oh my zsh를 사용하기 위해 zsh를 설치하고, 기본 셀로 지정한다.

 

sudo apt install -y zsh

zsh --version  # 설치 확인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기본 셸로 zsh을 설정한다.

 

chsh -s $(which zsh)

 

이후 zsh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안내문자가 나오는데 2번을 눌러주면 된다.

 

 2번 누르기

 

✅ Homebrew 설치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homebrew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설치된 homebrew에 대한 환경변수를 zsh에 등록해야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환경 변수를 등록한다.

 

echo 'eval "$(/home/linuxbrew/.linuxbrew/bin/brew shellenv)"' >> ~/.zprofile
eval "$(/home/linuxbrew/.linuxbrew/bin/brew shellenv)"

 

잘 등록되었다면 brew --version을 입력하였을 때, 아래와 같이 버전이 출력되어야한다.

 

✅ oh-my-zsh 설치

이어서 oh-my-zsh를 설치해보자.
명령어를 입력하고, Y와 비밀번호를 누르면 oh-my-zsh 의 문구가 출력되고 기본 설정이 oh-my-zsh로 변경된다.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초기설정이 완료되었으니 터미널을 꾸밀 차례이다.

 

나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였다.

https://kdohyeon.tistory.com/122

 

터미널 꾸미기: Oh-my-zsh + iTerm2

이번 시간에는 맥북을 처음 세팅할 때 터미널 환경을 커스텀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iTerm2 설치 MacOS 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터미널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어 보통 iTerm2 어

kdohyeon.tistory.com

 

윈도우에서는 iTerm2를 통한 터미널 꾸미기가 불가능하여 다소 단조로운 형태의 터미널이 완성되었다.

 

✅ 커스텀 명령어 추가

WSL은 리눅스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맥에서 사용하던 대부분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open .' 처럼 mac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WSL의 기본 쉘인 Bash 또는 Zsh 설정 파일(~/.bashrc 또는 ~/.zshrc)에 명령어를 추가함으로서 커스텀 명령어를 추가하고 사용할 수 있다.

 

open . 은 현재 디렉토리를 파일 탐색기로 실행시키는 명령어이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커스텀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1. zsh 설정 파일 실행

nano ~/.zshrc

 

2. 명령어 추가

alias open="explorer.exe"

 

3. 설정 반영

source ~/.zshrc

 

 

이후 원하는 디렉토리에서 테스트하여 원하는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이밖에 필요한 명령어가 있다면 zsh 설정파일 문법에 대해 공부하거나, GPT 등에 명령구문 작성을 요청하여 옮겨 적으면 된다.

 

✅ 빠른 실행 도구 추가

마지막으로 완성한 커스텀 터미널을 기존 명령 프롬프트처럼 빠른 실행 도구를 통해 접속해보자.

윈도우 + R 키를 누르면 실행 도구가 켜지는데, 여기서 cmd를 입력하면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 실행도구에 커스텀 터미널을 등록시켜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실행' 도구는 윈도우 환경에 따라 다르나, 주로 아래 경로에 있는 프로그램의 이름을 입력할 경우 실행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C:\Windows\System32

%USERPROFILE%\AppData\Local\Microsoft\WindowsApps

 

나의 경우 System32 폴더에서 cmd.exe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었다.(못 찾겠다면 우측 상단의 검색 도구를 사용하여 cmd를 검색해보자)

 

이 디렉토리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저장시켜두면, cmd나 notepad 처럼 원하는 프로그램을 명령어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기존의 커스텀 터미널은 파워쉘을 열고,wsl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시켜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커스텀 프로그램을 빠른 실행 명령어에 추가하도록 하겠다.

 

먼저 커스텀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는 batch 프로그램을 만든다.

 

아래 내용을 메모장에 붙여넣고, 원하는 이름.bat 로 간단한 배치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echo off
rem 사용자 이름 가져오기
set "USERNAME=%USERNAME%"
rem WSL에서 데스크탑으로 이동
wsl.exe ~ -e bash -c "cd /mnt/c/Users/%USERNAME%/Desktop && exec bash"

 

 

 

작성한 배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wsl 터미널이 실행되는지 확인하고, 앞서 확인한 경로에 붙여 넣는다.(관리자 권한 필요)

 

이 과정까지 수행하였다면 파일 이름(term)을 입력하여 cmd나 notepad 처럼 빠르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728x90

라이브 탬플릿이란, 코드를 더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이다.

사용자가 단축어를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템플릿이 확장되어 자주 사용하는 코드 패턴을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intellJ에서 psvm + Tab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main함수(public static void main)가 작성되는 것이 그 예이다.

 

intellJ에서 이미 다양한 라이브 탬플릿을 제공하지만 커스텀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탬플릿을 원하는 단축키로 등록시킬수 있는 기능또한 제공한다.

 

커스텀 라이브 탬플릿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IntellJ IDEA - Setting 클릭

 

2. 검색창에서 live template 검색 후 + 클릭

 

3. Live Template 혹은 Template Group 클릭

전자의 경우 새로운 템플릿을, 후자의 경우 새로운 템플릿 그룹을 생성한다. 템플릿 그룹은 작성할 템플릿을 저장할 디렉토리에 해당한다.

 

 

4. 커스텀 라이브 템플릿을 작성한다.

Abbreviation : 단축키

Description : 단축키에 대한 설명

Template text : 단축키 입력시 자동완성될 코드

 

내가 예시로 작성할 라이브 템플릿은 tdd로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에서 자주 사용되는 테스트 양식이다.

자동 완성될 코드는 아래와 같다. $~$ 부분은 템플릿 생성 이후 사용자로부터 직접 이름을 입력받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Test
public void $FUNCTION_NAME$()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아래와 같이 작성한 뒤

 

JAVA환경에서 사용할 것이므로 No applicable contexts 밑의 Define을 눌러 Java를 선택해준다.

 

이후 코드작성창에서 tdd 라는 단축키로 커스텀 라이브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Informat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맥북 터미널 사용하기  (0) 2025.05.12

+ Recent posts